동의대학교 인공지능그랜드ICT연구센터

연구 프로젝트

AI스마트시티

12세부 (조상리): 서비스 로봇 만족과 기업 만족간의 관계

세부 과제별 연구내용

  • 서비스 로봇 만족과 기업 만족 간의 관계 규명
  • 서비스 로봇 만족이 소비자의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
  • 의인화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
  • 의인화 정도에 따른 소비자의 심리적 경험 감정(유희 vs 불쾌) 확인 및 이것이 체류의도 및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규명

단계별 연구계획

  • 1단계(’20~’21)
    •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 및 저항 의도에 관한 연구

  • 2단계(’22~’25)
    • 1. 스마트 헬스케어기술의 사회적 영향 분석

      • 스마트 헬스 서비스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
      • 스마트 헬스 기기 사용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
      • 스마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
    • 2. 메타버스 기술의 사회적 영향 분석

      • 메타버스 산업의 규모, 현황 확인
      • 메타버스 참여자들의 심리적 및 행동적 반응에 관한 연구
      • 메타버스 어포던스가 소비자의 실재감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
      • 메타버스 물류 교육이 학습자 참여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
    • 3. 로봇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 분석

      • 로봇 서비스 현황 분석, 로봇 서비스가 고객 경험에 미치는 영향
      • 로봇 서비스 품질 차원 확인 및 로봇 서비스 만족과 전반적 서비스 만족 간의 관계 규명
      • 의인화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

  • 3단계(’26~’27)
    • 21년부터 25년까지 산업별 4차 산업혁명기술의 수용의도를 연구함에 따른 발견점 정리
    •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및 활용기술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새로운 기술수용에 따른 심리적 수용 및 저항 요인 확인
    • 26년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을 변수로 개발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수용을 위한 새로운 모델 제안
    •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안하는 New 기술 수용 모델의 일반화 검증


193d9e558e29742b11f4d6e45396b1f8_1747027352_9302.png